□ 서울시는 2023년 각 공원 내 녹지대, 시설물 등을 관리할 기간제 근로자 548명의 채용을 ’23.1.26(목)~’23.1.30(월)까지 3일간 원서를 접수받는다.
[동부, 중부, 서부, 북부공원 및 서울식물원 채용 인원]
구 분 (문의처) |
채용인원 | 센터별 관리공원 |
총계 | 548명 | |
동부공원여가센터 (02-460-2915) |
78명 | ∙서울숲공원, 응봉공원, 율현공원 ∙천호공원, 매헌시민의숲, 길동생태공원 |
중부공원여가센터 (02-3783-5913) |
135명 | ∙남산공원, 낙산공원, 용산가족공원 ∙서울로7017,서울광장, 광화문광장 ∙열린송현녹지광장, 율곡로녹지생태축 |
서부공원여가센터 (02-300-5518) |
186명 | ∙월드컵공원, 서서울호수공원, 선유도공원 ∙경의선숲길공원, 보라매공원 ∙문화비축기지, 여의도공원 |
북부공원여가센터 (02-2289-4027) |
41명 | ∙북서울꿈의숲, 경춘선숲길, 서울창포원 ∙중랑캠핑숲, 간데메공원 |
서울식물원 (02-2104-9721) |
108명 | ∙서울식물원 ∙푸른수목원 |
[동부, 중부, 서부, 북부공원 및 서울식물원 채용 일정 안내]
○ 공원별 응시분야 및 인원은 개별 공고문 확인
○ 자세한 채용안내 및 합격자 발표 안내
- 서울시 홈페이지 및 서울의 공원(http://parks.seoul.go.kr), 서울식물원(http://botanicpark.seoul.go.kr) 게시
구 분 | 기간제근로자 채용일정 | 비고 | |
모집공고(30일) | `22. 12. 26.(월)~`23. 1. 25.(수) | ||
원서접수(3일) | `23. 1. 26.(목)~1. 30.(월) | ||
1차 | 서류심사 | `23. 2. 8.(수)~2. 10.(금) | ㆍ일반,기능,경비,여가분야 동일 ㆍ4개여가센터, 식물원 동일 |
합격자 발표 | `23. 2. 14.(화) | ||
2차 (일반/기능) |
실기심사(구술포함) | `23. 2. 21.(화) | ㆍ일반,기능분야만 실기심사 (경비,여가분야는 실기 미실시) ※4개여가센터, 식물원 동일 |
공개추첨 | |||
2차 (경비/여가) |
면접심사 | `23. 2. 21.(화) | ㆍ경비분야 면접(동부) ㆍ여가분야 면접(식물원) |
`23. 2. 23.(목) | ㆍ여가분야 면접(서부) | ||
`23. 2. 24.(금) | ㆍ경비분야 면접(중부, 북부) | ||
합격자 발표 | `23. 2. 28.(화) | ㆍ4개 여가센터, 식물원 동일 | |
합격자 채용결격 신원조회 | `23. 2. 28.(화)~3. 6.(월) | ||
최종합격자 발표예정 | `23. 3. 7.(화) | ㆍ4개여가센터, 식물원 동일 | |
신규임용예정 | `23. 3. 13.(월)~ |
○ 채용분야 및 주요 업무내용
- 일반분야 : 수목관리, 꽃묘식재, 공원화장실 청소 등 녹지대 관리
- 기능분야 : 조경기계운용, 수경시설관리 등 시설 관리
- 시설경비분야 : 질서계도 및 안전점검, 순찰 등 안전관리
- 여가분야 : 공원내 프로그램운영 및 이용 안내 등 관리
※ 채용일정 및 임용일정은 향후 공원 상황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.
□ 공원 내 기간제근로자는 ’22. 12. 26(월)부터 채용 공고하고 1.26 (목)~1.30(월)까지 원서접수를 받아, 서류심사 및 일부 실기와 면접을 거친 후 ’23. 3. 7(화)에 최종합격자를 통보한다. 각 현장에 배치되면 8개월간 공원내 수목전정 및 잔디관리, 꽃묘식재 및 관리, 산림보호 및 병해충방제, 공원 내 쓰레기 분리수거 및 공용화장실 청소, 공원 내 각종 시설물 유지관리 등 주요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.
○ 자세한 채용안내 및 합격자 공고는 서울시 홈페이지 및 서울의 공원 누리집(http://parks.seoul.go.kr)을 확인하면 된다.
※ 기간제 노동자 현장배치 일정은 공원여가센터 및 서울식물원 일정에 따라 별도 시행될 계획이다.
□ 이번 ‘기간제근로자 공개채용모집’에서는 사전에 인근 ‘체력인증센터’에 서 체력인증서를 발급받아 제출하는 방식이 전면 시행된다. ’22년 기간 제 노동자 채용에 시범 도입한 ‘체력인증제’는 그해 총 2,225명이 응시하여 이중 746명이 인증서를 발급받아 제출한 바 있다.
□ 서울시는 체력인증서를 제출한 응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속적인 ‘체력인증제’ 시행에 대해 94.9%가 긍정적 답변을 하였으며 긍정적인 주요 이유는 체력측정 전문기관의 심사로 공정성이 높다는 것과 재도전의 기회가 있어서 좋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밝혔다.
체력인증제란?
국민들의 신체활동 및 체력증진을 도모하고자 국민들의 단계적 체력 향상을 유도하고 체력인증 기준에 도달한 사람에게 국가가 체력수준을 인증해 주는 제도
< 무료로 체력인증센터 이용 가능 >
□ 체력인증센터는 서울시 소재 10개소(일반인 9개소, 장애인 1개소)가 운 영되고 있으며 전문자격증을 보유한 운동지도사가 심폐지구력, 근력, 유연성, 순발력 등 개인별 체력측정 후 인증서를 발급해 주고 있어 구직자는 채용에 필요한 서류도 제공받고 자신의 체력진단을 통해 체계적인 건강관리도 지원받을 수 있다.
○ 현재 서울시 내 일반인을 대상으로 9개 지역(마포, 서대문, 강동, 동작, 중구, 송파, 서초, 강북, 성동)에서 체력측정 및 평가, 운동처방, 체력인증을 할 수 있는 체력인증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, 장애인을 대상으로 송파구에 체력인증센터를 추가 운영하여 건강증진과 구직활동을 돕고 있다.
※ 경기도 16개소(일반인 12개소, 장애인 4개소), 인천시 4개소(일반인 3 개소, 장애인 1개소)
□ 기간제노동자 공개채용에 응시하고자 하는 시민은 누구나 가까운 센터를 방문해서 무료로 체력측정을 받을 수 있으며 당일 몸 상태가 안 좋거나 등급을 높이고 싶은 경우 재도전의 기회도 가질 수 있다.
○ 센터를 방문하기 전 인터넷이나 전화를 통해 사전예약을 해야 하며 체력측정시간은 50분내외 정도 소요된다. 체력인증서는 연령별 개인 측정 결과에 따라 1~3등급까지 발급되며 비용은 무료이다.
[인증장소 : 서울시 및 전국 소재 체력인증센터]
○ 서울시
센터명 | 운영요일 | 운영시간 | 주소 | 연락처 |
마포 | 월∼금 | 09:00∼18:00 | 마포구 월드컵로25길 190, 4층 | 02-337-7815 |
서대문 | 월~금 | 09:00~18:00 | 서대문구 백련사길 39, 4층 | 02-360-8569 |
강동 | 월~금 | 09:00~18:00 | 강동구 구천면로 297-5, 2층 | 02-488-9586 |
동작 | 월~금 | 09:00~17:00 | 동작구 사당로27길 232, 2층 | 02-591-0101 |
중구 | 월~금 | 09:00~18:00 | 중구 퇴계로 387, 4층 | 02-2280-8500 |
송파 | 화~토 | 09:00∼18:00 | 송파구 올림픽로 424, 편익동 A-1 | 02-410-1014 |
서초 | 월~금 | 09:00∼18:00 | 서초구 사평대로 55, 2층 | 02-591-5999 |
강북 | 월~금 | 09:00∼18:00 | 강북구 오현로31길51 3층 | 02-980-0101 |
성동 | 월~금 | 09:00∼18:00 | 성동구 왕십리로5길 3, 4층 | 02-2286-7190 |
곰두리 (장애인) |
월~금 | 09:00∼18:00 | 송파구 동남로 271, 곰두리체육센터 | 02-449-0920 |
※ 경기 16개소(일반인 12개소, 장애인 4개소), 인천 4개소(일반인 3개소, 장애인 1개소)
▶소요시간 : 1인 50분 내외 ※ 사전예약 및 문의필수
▶인증비용 : 무료
▶인증기준
○ 체격(신장, 체중 등), 건강체력(근력 및 근지구력, 유연성, 심폐지구력), 운동체력(민첩성, 순발력)을 검사하여 결과에 따라 등급 인증
○ (일반인)체력인증센터 ‘체력인증서’ 제출(1~3등급까지만 인정)
- 참가증 및 체력결과지는 불인정 처리
※「국민체력 100」‘체력인증서’ 유효기간 : `22.1.1.~`23.1.30.
○ (장애인)곰두리서울장애인체력인증센터 https://nfa.koreanpc.kr/)
체력측정결과지 제출시 체력평가(체력요인별) 1~3등급까지만 인정
※ 곰두리(장애인) 체력측정 유효기간 : `22.1.1.~`23.1.30.
□ 시는 그동안 매년 기간제 근로자 채용에 2천명이 넘는 구직자들이 응시하고 있어 대규모 구직자 운집으로 코로나19 감염확산 및 안전사고 우려가 있었다면서 ‘체력인증제’ 전면 시행으로 공원현장에서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구직자들은 체력심사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재도전의 기회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.
"본 저작물은 '서울특별시'에서 '2022년'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3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, 해당 저작물은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http://www.seoul.go.kr/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."
'도움되는 취업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울주택도시공사 2023년 상반기 주거복지직 신입사원 32명 모집 / 접수 1.27~2.16 (3) | 2023.01.27 |
---|---|
고용노동부, '23년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사업 3,000명 모집 / 2023년 1월부터 접수 (1) | 2022.12.28 |
2023년도 국가공무원 6,396명 공채 *시험일정 안내 (0) | 2022.12.19 |
수원시 2023년 노인일자리 참여자 4,685명 모집 / 접수 2022.12.5~12.28 (1) | 2022.12.17 |
2023 여주시 겨울방학 대학생 아르바이트 55명 모집 / 2022.12.22~12.27 (2) | 2022.11.29 |